고혈압/당뇨클리닉
아픔 없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

고혈압
혈압은 혈액이 몸 속을 순환하면서 동맥벽을 누르는 압력을 말하며, 혈압을 나타내는 두 개의 숫자 120/80 mmHg 와 같이 표현됩니다.
(수축기혈압/이완기혈압)
혈압의 분류 |
수축기 혈압 |
|
이완기 혈압 |
정상 |
120 미만 |
그리고 |
80 미만 |
고혈압 전단계 |
120 ~ 139 |
혹은 |
80 ~ 89 |
고혈압 1기 |
140 ~ 159 |
혹은 |
90 ~ 99 |
고혈압 2기 |
160 |
혹은 |
100 |

고혈압의 원인
혈압은 하루에도 여러 번 오르내리며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조금씩 다르고 체위, 운동, 흡연, 긴장, 수면 등 많은 조건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.
본태성 고혈압 (95% 정도)
유전적인 요소와 스트레스, 식습관, 비만, 운동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 되어 발병하리라 보며, 본태성 고혈압은 완치가 불가능하나 약물이나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정상으로 조절하는 경우 심각한 합병증 발생을 피할 수 있고 정상인과 다름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.
이차성 고혈압 (5% 정도)
주로 신장질환을 통해서 발병하며, 이외에 호르몬 이상, 굵은 동맥 이상, 임신중독 등으로 고혈압이 생길 수 있으며, 2차성 고혈압은 주로 젊은 사람에게 많고 다른 증상을 동반하기로 하므로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어 적절히 치료할 경우 혈압이 정상화되기도 합니다.
 고혈압의 증상
고혈압은 두통, 뒷목의 뻐근함, 어지러움, 비 출혈,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 이 있을 수 있으나, 반드시 혈압과 관계가 있는 증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. 대체로 어떤 위험신호나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생활하기에도 큰 불편함이 없으므로 자신이 고혈압 환자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혹은 알고 있어도 무시하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.
|
 |

고혈압 치료 생활습관
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의 변화가 기본이며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의사가 지시한 대로 항고혈압제를 복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고혈압 약 복용 시 부작용 안내
최근 시판되는 약물의 경우는 부작용이 매우 적고 대부분 잘 알려져 있어 대처가 가능합니다. 그러나 약물 치료 시 새로 발생된 증상이나 부작용 현상(어지러움, 두통, 성 기능 약화, 무기력, 서맥, 안면홍조 등)이 생기면 담당 주치의에게 바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